Favorite Music
*모차르트 - 세레나데 제13번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 G장조, K.525 - 1악장 - I Musici (이 무지치) 아이네 클라이네(eine kleine)는 영어의 a little(작은) 정도의 여성형 표현이고요. 아이네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는 흔히 <작은 소야곡>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뮤 지크≫는 작은'이라는 뜻의 '아이네 클라이네 와 야곡(夜曲)의 뜻인 '나하트뮤지크'가 합쳐진 독일어로 '소야곡 세레나데'를 일컫는 말 이라고 하네요 아이네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제1악장,세레나데13번,미완성교향곡제1악장 기악합주용 세레나데의 완벽한 정형(定型)이라고 볼 수 있고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가운데 가장 친근하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애호를 받는 곡이다. 이 곡이 어떤 사정에 의해서, 누구의 요청으로 작곡되었는지는 전혀 알 수 없다.1787년 8월 무렵에 작곡 된 것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표제로 미루어 볼 때 세레나데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작곡한 목적은 알 수 없다.따라서, 세레나데풍으로 현악 합주로 연주하기도 하고, 실내악으로서 현악 4중주나, 콘트라베이스를 첨가한 5중주로 연주하기도 한다. 그 옳고 그름에 대해서는 판결을 내리기가 곤란하다. 다만, 음향 효과면에서는 현악 합주가 훨씬 좋으며, 또 악상으로 보아도 이것을 순순한 실내악으로만 볼 수는 없다 ★각 악장의 느낌, 의미 [제1악장] 알레그로 C장도 4/4박자 소나타 형식이다. 제 1주제가 맑은 분위기를 조성하고, 우아한 제 2주제가 등장하여 제1주제와 아주 좋은 대조를 이루고 간단한 전개부가 펼쳐진다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지크 1악장은 알레그로'이기도 하며 모차르트가 작곡했습니다. 2악장은 "로망스"이며, 3악장은 "미뉴엣"입니다. 4악장은 론도 알레그로"입니다.세레나데'라고 하면 흔히 저녁에 연인의 창밖에서 사랑을 고백하며 노래를 한다거나 악기로 연주 하는 음악이라고 생각하겠지만, 18세기에 유행했던 세레나데는 이같은 낭만적인 소품들과는 다른 개념이다.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시대인 18세기의 세레나데는 디베르티멘토와 교향곡의 중간쯤의 성향인 다악장의 기악곡을 일컫는 용어였다. 보통 4악장 정도 길이의 악곡인 세레나데는 부호들의 행사가 있을 때나 귀족들의 살롱과 정원에서 즐겨 연주되었다.모차르트는 13개의 세레나데를 썼는데, 이 곡은 명랑하고 우아한 멜로디로 인해 널리 알려지고 인기가 높은 작품이다. 그가 31세이던 1787년 작곡된 이 곡의 제목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는 작은이라는 뜻의 '아이네 클라이네 와 야곡(夜曲)의 뜻인 '나하트뮤지크'가 합쳐진 독일어로 '소야곡', '세레나데'를 일컫는 말인데, 또한 현악 5부(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로 구성되었다는 다른 세레나데들과의 차이점 때문에 현악 세레나데'라고도 불려진다.그리고 모차르트의 작품 목차를 보면 이 곡의 작곡 당시에는 세레나데의 원칙대로 5악장 구성이 었다고 추측되는데 현재 전해 오는 이 곡의 구성은 교향곡적인 4악장의 구성이다 분실이 된 3악장의 부분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그것이 우연한 소실인지 또는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생략된 것인지도 확실치 않다.이 작품은 극히 간결한 서법으로 쓰여져 있고, 제1악장의 주제가 전체의 구성을 통일시켜주어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친숙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아름다운 선율과 세레나데다운 개방적이고 명쾌한 곡조도 이 곡을 빛내 주는 요소이다. 전 악장을 통해 명랑하고 우아한 멜로디로 일관하는 이 곡의 제1악장은 알레그로의 속도로 4/4박자의 세도막 형식이다. 힘찬 제1테마와 귀여운 제2테마가 응답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악장은 로만체 안단테로 4/4박자, 세도막 형식이고 달콤한 선율로 인해 가장 인상적인 악장이다. 제3악장은 미뉴에트 알레그레토, 3/4박자, 겹세도막 형식으로 간결하고도 전형적인 미뉴에트로 독일의 옛 무곡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마지막 악장인 제4악장의 제2테마는 유창한 멜로디가 피날레에서는 드물게 보는 일품이라는 평이다.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이 마지막 13번곡,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입니다.아직까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결혼식장 등에서도 많이 연주되는 곡이지요 현재 현악 사중주의 형태로 많이 연주되나 위에도 나와있듯 원보가 현악5부의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볼 때 고전시대 챔버오케스트라의 형태로 연주되기 위해 작곡되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상당히 익숙하여 자칫 식상할 수 있는 곡임에도 얼마전 방한한 영국 계몽시대 오케스트라는 원전악기를 이용하여 복원된 "모차르트 시대의 소리"를 이 곡을 통해 멋지게 보여주어 큰 찬사를 받은 바 있고 기분이 좋아지는 곡입니다 출처 : 모차르트*세레나데 제13번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 G장조, K.525 - 1~4 악장글쓴이 : 록키 마르시아 원글보기메모 :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youngho1116@hanmail.net 'Favorite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Annie Laurie (애니 로리) (0) 2006.02.19 [스크랩] 차이콥스키: 다만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 엘리 아멜링/슈바르츠코프 (0) 2006.02.19 [스크랩] 모짜르트//디베르티멘토(희유곡) No.17 D major KV 334 (0) 2006.02.19 [스크랩] 시월의 마지막밤 장영주 연주회에 초대합니다....Zigeunerweisen, Op. 20 (0) 2006.01.29 Core'ngrato, (Catari Catari, 무정한 마음)/Giuseppe Di Stefano (0) 2005.11.13 티스토리툴바
출처 : 모차르트*세레나데 제13번 아이네 클라이네 나하트 무지크 G장조, K.525 - 1~4 악장글쓴이 : 록키 마르시아 원글보기메모 :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youngho1116@hanmail.net 'Favorite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Annie Laurie (애니 로리) (0) 2006.02.19 [스크랩] 차이콥스키: 다만 그리움을 아는 자만이 - 엘리 아멜링/슈바르츠코프 (0) 2006.02.19 [스크랩] 모짜르트//디베르티멘토(희유곡) No.17 D major KV 334 (0) 2006.02.19 [스크랩] 시월의 마지막밤 장영주 연주회에 초대합니다....Zigeunerweisen, Op. 20 (0) 2006.01.29 Core'ngrato, (Catari Catari, 무정한 마음)/Giuseppe Di Stefano (0) 2005.11.13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