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교수, 저서, 화학공장의 응용설계와 건설, 신간서적, 대학/대학원 교재, 제3판, 092015
제 3 판을 내면서
우리 화학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나 학자들은 다른 일반 학과와는 달리 공학의 알파에서부터 오메가까지 총체적으로 보는 눈을 가지고 학문을 추구 해 나갈 뿐만 아니라, 화학공장에서 다양한 변화 속에 도래될 결과의 핵심 요소들을 미리 예측하고 찾아 내, 그 해결방안을 화학공학에 접목하여 진화시켜 나감으로써 인류에 공헌할 수 있게 된다.
화학공장들의 궁극적 목표는 인류사회가 요구하는 정상적인 제품들을 생산하여 인류에 공급 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인류가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행복한 삶의 도구가 되어야 하고 또한 생활 용품이 되어야 한다.
국∙내외 현대 화학공장과 산업체는 과학, 기술의 발달과 진화하는 과정에 따라 휴머니즘을 담은 공학의
인간적 응용설계와 화학공장의 건설/관리를 새롭게 요구하고 있다.
공학 분야에 기반을 둔 복잡 다양한 기존 설계기준과 공장건설 그리고 전반적인 관리측면 에서도 현실로 다가 올 미래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진화 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진화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응용설계기준에 따라 변화된 화학공정 시설을 통 해 새롭게 요구되는 안전 규격의 화학제품들을 생산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해야 한다.
특히, 현 시대가 요구하는 최신 화학공장의 응용설계와 건설에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화학공장의 설계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설계기준을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공장 응용설계와 건설에 향상된 규격을 적용 할 수 있도록 재 조명 해서 실행해야 한다.
우리 공학자들은 현재 지구 기후변화가 제반 공장에 영향을 미치는 지진, 쓰나미, 태풍, 폭풍우 (rainstorm), 뇌우(thunderstorm), 홍수, 폭염(暴炎)/혹서(酷暑, heat wave), 게릴라성 폭우, 가뭄, 천둥, 낙뢰, 대기권 오존층 파괴, 설산과 빙산의 해빙, 초고온, 초저온, 화산폭발 등과 같은 현상들의 요소와 요인들을 공장 안전설계에 반영하고 공장건설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관리도 포괄적으로 해 나가야 한다.
현 시점에서 지구 기후변화에 따른 이들 요소들과 요인들을 공장 안전설계에 반영하지 않고 지나칠 경우에
제반 공장의 사고가 발생할 때는 인명손실과 자산손실은 물론 대자연의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화재, 폭발, 붕괴, 위험물질누출/확산, 독가스의 분출/확산, 침수, 수해 등과 같은 재앙적 재해로 이어지게 됨은 명약관하 하다.
이 총체적 현상들의 요소와 요인들을 제어하는 측면에는 공학개념, 공정 기본 및 상세 설계, 기기장치 설계, 공정 응용설계 등의 다양한 설계 기준에 따라 Project관리, 공장건설, 시운전, 성능보장, 생산정상화, 공정개선, R&D, Research, 공정안전 및 환경관리 등의 제반 사항들이 있다.
이들 제반 사항들을 성공적으로 다뤄나가는 과정은 공학철학 바탕 위에서 실행실천하고 관리 해 나가야 한다.
저자는 오랜 세월 국∙내외 대단위 화학공장에서 실무를 담당 해 오면서 총체적으로 공학공정 응용
안전설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실질적 경험(Hands-on Experience)을 쌓아 왔다. 실질적 업무 추진에서 공학요소들을 이론에 입각하여 총체적으로 공장건설과 관리에 응용 해 나간다면 “모든 사고(incident/accident) 들은 예방 될 수 있다.” 는 것을 실무를 통해서 확신하게 되었다.
전문가 집단과 연구집단, 그리고 정책입안 집단들이 공학철학적 관점에서 협업(協業, cooperation)하고 지구
기후변화가 영향을 주는 자연재해(Natural Disasters)에 대비하여 실질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제반 산업에 응용 발전시켜 나간 다면 이로 인한 사고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보며, 이렇게 할 때 인명 손실과 자산 손실, 그리고 생태계 파괴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제3판에서는 공학을 생산과 연계하여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 공학철학의 중요성을 재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학자들은 현 시점에서 화학공장의 응용설계와 건설 및 관리에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제반 사항의 요소와 요인들 중에 실질적으로 지진과 쓰나미에 우선하여 공장 및 공정에 응용설계를 해 나가도록 강조했다.
인류에 공헌하는 휴머니즘의 바탕이 응용설계에 필수적으로 도입되어야 하는 주안점을 감안하여 저자의 논문: New Concept Study for Protection of Overall Chemical Process Systems Against Earthquake and Tsunami을 부록 (Appendix) IV로 증보했다.
증보 주요내용에는:
•지진에 대비하여, 공정안전평가(Process Safety Evaluation)를 통한 취약 장비와 설비의 보강
•그 방법론과 방법
•쓰나미에 대비하여, 더 빠른 공정 비상 조업중단 절차 및 공정 개발
•그 방법론과 방법
•주요 시설 및 유틸리티의 위치선정
•Critical Scenario Case Study
•Emergency Case에서의 응용설계
•지진과 쓰나미에 대비한 안전정책 입안
화학공학 전공자들이 주로 과거 현상을 기준하여 제반 공정설계와 공장건설을 해 오고 있는 점들을 감안하
여, 현재로 다가 올 미래의 기후변화로 인한 제반 현상들의 요소와 요인들을 화학공정의 응용설계에 반영케 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제반 공장의 대형 사고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화학공장의 응용설계와 건설”제3판을 내 놓는다.
2015년 을미년 실록이 우거진 여름, 성복동 산자락 첼시빌 서재에서……
Y.H.KIM Eng. & Mfg. International Consultant, Representative
(전 KAIST 인문사회과학과 행복론, 공학철학 교과목 대우교수)
저자, 김영호(金榮鎬) 씀
http://blog.daum.net/greenis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