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샘터

茶山 丁若鏞의 詩: 홀로 웃다 (獨 笑)의 깊은 뜻을 새기며......

youngho1116@hanmail.net 2010. 5. 3. 10:05

후기 조선시대 정조와 함께 사회의 전반적인 개혁을 주도하다

당쟁과 역모에 밀려 거의 18년 동안이나 귀양살이를 떠났던

한 선비가 있었으니 그의 이름이 정약용 선생입니다.

오늘 날 다시금 재조명 되고 있는 정약용 선생의 사상

대부분은 오히려 그가 권력의 주변부로 밀려나 강진에

초가를 짓고 홀로 세상을 관조하며 집대성하신 것들인데,

세상을 떠난 사람이 세상 이치를 더 잘 깨닫고, 삶과 죽음을

초월한 사람이 되려 삶에 대한 직관과 통찰을 얻게 된다는

사실이 새롭습니다.

그분이 쓰신 독소(獨笑)라는 시가 있습니다. 홀로 獨자에 웃을 笑,

곧 '홀로 웃는다', 라는 뜻의 이 詩를 읽다 보면

왜 그가 홀로 웃고 있는지, 이유를 알게 됩니다.

한 번 들어보시지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